본문 바로가기
넛지를 통해 살펴본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 1탄] 넛지(Nudge)란 무엇인가?

by 캉대지 2022. 4. 18.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경제 공부 첫 포스팅으로,
행동경제학자로 널리 알려진 '리처드 탈러' 교수의
'넛지(Nudge)'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넛지'는 리처드 탈러 교수의 행동경제학 대표작으로
리처드 탈러 교수의 2017년 노벨 경제학 수상 이후에
꾸준히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책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넛지의 기본 개념, 넛지를 이해하기 위한 '선택 설계'의 개념,
마지막으로 넛지의 중요성 위주로 내용을 정리하고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넛지란 무엇인가?

우선 넛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넛지라는 개념을 분명히 정의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Nudge의 사전적 의미는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위를 환기시키다'입니다.
즉 무언가를 간접적으로 상기시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뜻에서 파생되어 현재 Nudge는 '강하지 않은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의 주제인 '넛지'라는 책에서는 '넛지'를 다음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선택 설계자가 취하는 하나의 선택 설계 방식으로,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그들의 경제적
인센티브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그들의 행동을 예상 가능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
즉 최소한의 선택 설계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 방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간접적인 방법(명령이나 지시 없이)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개념이 더 와닿을 듯합니다.


해당 정의를 보시면 선택 설계자? 선택 설계? 등 사전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이 있는데요.
그러면 다음으로 넛지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을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넛지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선택 설계'의 개념 및 방향성

넛지라는 개념을 살펴보면 선택 설계, 선택 설계자라는 용어가 나오는데요,
선택 설계 혹은 선택 설계자라는 개념은 넛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핵심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택 설계 : 사람들이 어떠한 결정을 내리는 배경과 맥락을 설계하는 것
선택 설계자 : 사람들이 결정을 내리는 배경이나 맥락, 즉 선택 설계를 사전에 만드는 사람
즉 선택 설계라는 것은 사람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과 배경을 간단하게 설계해놓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선택 설계'의 간단한 예시입니다.
아이들이 햄버거와 같은 정크푸드를 먹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크푸드 섭취를 강제로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과일을 아이들 눈에 잘 보이는 위치에 놓고 간접적으로 햄버거 대신 과일을 선택하게 끔 유도하는 것

탈러 교수는 넛지에서 선택 설계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선택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익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동시에,
해를 입힐 가능성이 가장 낮은 넛지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선택 설계를 통해 올바른 행동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유익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선택 설계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선택 설계 방향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좀 더 자세히 서술하도록 하겠습니다.

 

 

넛지가 왜 중요한가?

리처드 탈러 교수는 넛지의 중요성을 다음의 세 가지 이유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다원적 무지란 개인이 특정한 규범 혹은 신념을 개인적으로는 싫어하면서도,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자신뿐이라고 믿기 때문에 실제로는 해당 규범을 따라 유사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원적 무지 이론에 따르면 해당 사회의 규범 혹은 신념이 개인이 행동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행동을 통제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종종 어떤 관행이나 전통을 따라 행동하는 것은 그것을 좋아하거나 옹호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단지 다른 사람들 대부분이 좋아한다고 믿기 때문인데, 이러한 행동 양식이 다원적 무지의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처드 탈러 교수는 이러한 다원적 무지가 한 사회의 개인에게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 사회의 넛지를 통한 선택 설계 방식 역시 개인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도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둘째 인간은 동조 효과에 매우 약하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기본적으로 동조 효과(동조 효과 사회적 규범이나 대다수의 의견 등에 개인의 의견이나 행동을 동화시키는 경향을 의미)에 매우 취약하다고 합니다. 즉 인간은 주어진 틀을 따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개인의 선택이 사회적 규범이나 대다수의 의견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입니다.

이에 관해 리처드 탈러 교수는 사회적으로 이러한 동조 효과는 매우 지속적인 넛지를 양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생각할 수조차 없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을 초래하기도 한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사회에서의 동조 효과가 개인의 선택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넛지가 어느 방향으로 작용되는지에 따라 행동 양식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결정적인 단계에 개입되는 작은 간섭과 우연은 최종적인 결과에 커다란 차이를 유발한다?

개인의 선택에 있어서 결정적인 단계에 개입되는 작은 간섭 혹은 우연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넛지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예시로 중요한 운동경기를 앞두고 있는 선수에게 있어 그날 아침의 컨디션 혹은 경기장으로 출근하는 교통상황 등은 종종 그 선수의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회에서 개인의 선택에 개입되는 우연적 요소들은 어쩌면 그 개인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개인은 다원적 무지에서 자유롭기 힘들고, 동조 효과에 영향을 받으며, 결정적인 순간의 우연적 요소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성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넛지라는 간접적인 선택 설계 과정이 개인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오늘 포스팅에서는 넛지의 개념과, 선택 설계의 개념, 넛지의 중요성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넛지의 방법 즉 선택 설계의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이어질 포스팅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