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지난 시간에는 행동경제학 2탄 두 번째 이야기로
선택 설계의 개념, 중요성, 방향성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행동경제학 3탄에서는
최상의 선택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전제조건,
즉 넛지를 적용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편을 다 읽어본 분들이라면 다들 이해하시겠지만,
넛지라는 것은 선택 설계자가 취할 수 있는 선택 설계 방식인데요.
다양한 환경 속에서 어떤 조건하에 넛지를 설계해야 그 결과가 극대화될지
이번 장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바로 다음 내용에서 넛지를 실제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조건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넛지를 적용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
'이익은 당장 - 비용은 나중에'(혹은 반대로 비용은 즉각 이익은 당장)
넛지가 작용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으로 이익은 바로 나타나는 반면 그에 따른 비용은
시간차를 두고 나중에 발상하는 항목이어야 한다는 것이 리처드 고슈의 설명입니다.
즉 선택과 그 결과가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경을 두고 일어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책에서는 '투자 항목' 과 '죄악 항목'을 예시로 들고 있습니다.
'투자 항목'은 운동이나, 다이어트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요,
이런 항목은 비용은 즉각적으로 발생하지만 그에 따른 이익은 나중에 나타납니다.
운동을 하면 운동할 때는 힘들지만, 나중에는 체력 증진 등 긍정적인 결과가 나중에 나타나듯 말이죠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죄악 항목'은 흡연과 알코올 등을 예시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흡연을 예로 들면 당장의 쾌락(이익)을 얻는 대신에, 나중에 건강 악화라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처럼
이런 죄악 항목에도 넛지가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넛지는 이러한
이익과 비용이 시간차를 두고 발생하는 경우에(상반된 경우 모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거겠죠!
넛지를 적용하기 위한 두 번째 조건
'난이도가 있는 문제일 것'
넛지가 작용하기 위한 두 번째 조건으로 '난이도가 있는 문제일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어찌 보면 두 번째 조건은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실 수도 있는데요, 예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나비넥타이를 맨다거나, 체스를 실시하는 것을 사람에 따라 모르는 잘 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겠죠, 다만 이러한 문제들은 적절하게 매져있는 나비넥타이를 구매한다거나
체스 교본을 산다거나하는 방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영역에 넛지를 적용해 봤자 사람들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는 힘들겠죠.
그러나 이러한 영역 외에 적절한 대출 방법을 선택한다든지,
퇴직금 적립 방식을 결정한다든지 하는 방식은 훨씬 더 사람들에게 난이도가 있게 느껴지겠죠.
이런 영역에서는 바로 넛지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겁니다!
넛지를 적용하기 위한 세 번째 조건
'선택의 빈도수가 적은 것일 것'
넛지를 적용하기 위한 세 번째 조건으로 그 선택의 빈도수가 적은 것이 넛지 효과가 작용되기에 유리합니다.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계속해서 선택을 하고 수정하고, 또다시 그 선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연습을 통해서 그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선택의 빈도수가 많은 문제들은 학습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이기에
넛지의 효과가 크게 적용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많은 중요한 결정들 가운데 일부분은 연습할 기회도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겠죠
이런 경우에 올바른 선택 환경 설계가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넛지를 적용하기 위한 네 번째 조건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일 것'
네 번째 조건은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조건처럼 선택의 빈도수가 높아 연습을 할 수 있고
그러한 연습에 적절한 피드백까지 주어지는 상황이라면? 그러한 상황에서
개인은 학습을 통해 올바른 선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겠죠
그러나 그 반대의 상황이라면, 정말 효과적인 넛지 즉 선택 환경 설계가
필요한 조건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넛지가 적용될 수 있는 여러 조건들을 살펴보다 보니
글이 벌써 여기까지 길어졌네요.
앞의 조건들에서 살펴봤을 때 넛지는 정말 자신의 선택이 궁극적으로
삶에 미칠 영향을 쉽게 예측하지 못하고,
그 선택지에 대한 연습도 어려운 경우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겠네요.
이런 상황을 일상생활에서 찾아보면 상당히 여러 상황이 있음을 있다는 것을 깨달으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아무튼,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고요!
다음 시간에는 그렇다면 우리가 넛지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넛지를 통해 살펴본 행동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경제학 6탄] 넛지를 통해 저축늘리기(퇴직연금 사례) (0) | 2022.04.28 |
---|---|
[행동경제학 5탄] 선택 설계의 세계 - 선택 설계의 기본 원칙(2) (0) | 2022.04.25 |
[행동경제학 4탄] 선택 설계의 세계 - 선택 설계의 기본 원칙(1) (0) | 2022.04.25 |
[행동경제학 2탄] 선택설계에 관하여(개념, 예시, 중요성, 방향성) (0) | 2022.04.19 |
[행동경제학 1탄] 넛지(Nudge)란 무엇인가? (1)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