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상작용3

[행동경제학 19탄] 기준점 효과와 시스템1,2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행동경제학 19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인지적 편안함/압박감이 어떻게 시스템 1,2에 영향을 미쳐 그 기능을 발동하게 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인지적 편안함이라는 시스템 2를 잠재우고, 시스템 1을 통해서 사고하게 한다는 사실 기억나시죠? 이러한 시스템 1,2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인지적 편안함뿐만 아니라 인간이 사고하는 패턴 혹은 방식도 포함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간의 사고 패턴 중 하나인'기준점 효과'를 알아보고, 이러한 기준점 효과가 시스템 1,2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포스팅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점 효과란? 우리는 제공된 특정 정보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우선 기준점 효과란 '닻 내림 효과'라고도 하는데요. 인간.. 2022. 5. 23.
[행동경제학 18편] 인지적 편안함 : 시스템1과 시스템2의 계기판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행동경제학 18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시스템 1의 대표적 기능인 '연상작용'과 '점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어떤 조건하에서 시스템 1과 2가 발동되는지 이러한 상황을 만드는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에는 "인지적 편안함/압박감"이 시스템 1,2의 발동시키는 있는 주요한 요소라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왜? 인지적 편안함/압박감이 시스템 1,2의 기능을 촉발하는지 알아보고 그 인지적 편안함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오늘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인지적 편안함/압박감 : 시스템 1,2의 발동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우선 편안함은 어떤 위협도, 별다른 소식도, 경계도 필요 .. 2022. 5. 20.
[행동경제학 17편] 시스템1의 대표적 기능인 연상작용과 점화효과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행동경제학 17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생각에 관한 생각' 첫 번째 포스팅으로 두 시스템, 즉 시스템 1과 시스템 2에 정의와 그 관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은 시스템 1을 좀 더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시스템 1의 대표적 기능은 '연상 작용'과 그 대표적 사례인 '점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는 시스템 2보다 시스템 1에 대한 설명에 더 많은 지면을 할당하고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시스템 1이 인간이 사고하는 바탕을 이루는 시스템이고 대부분 모든 개인의 판단을 주도하는 것은 시스템 1이라고 행동경제학은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즉, 시스템 2를 자신이 영웅이라 믿는 조연에 해당하며 실질적인 주인공은 시스템 1이라는 것이죠.. 2022.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