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 [행동경제학 8탄] 넛지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 하기 안녕하십니까? 넛지를 통해 이해하는 행동경제학 8탄으로 돌아왔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넛지를 통한 퇴직연금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사회적인 영역에서 공익을 극대화하는 넛지의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넛지를 통한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넛지라는 행동경제학 책이 사실 경제학 책이긴 하지만 공익적인 부분을 많이 강조하고 있는데요! 그런 이유 때문에 블로그에서 소개해 드리는 사례도 대부분이 공익을 극대화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해 드리게 되네요! 그러나, 넛지는 공익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제 사업 등 마케팅 측면에서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니 사례를 최대한 많이 익히고 공부해놓는 것이 좋겠죠? 그러면, 넛지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하는 방법 구체적으로 알아보.. 2022. 4. 29. [행동경제학 7탄] 넛지를 통해 퇴직연금 투자 설계하기(넛지) 안녕하십니까? 넛지를 통해 이해하는 행동경제학 벌써 7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안정적인 노후 생황을 위한 퇴직연금 가입의 넛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퇴직연금의 가입은 시작이고, 이제 이 퇴직연금을 가지고 어떻게 투자할지 그 액수는 어떻게 될지 알아봐야겠죠? 아 물론, 퇴직연금에는 확정 급여 형 플랜이 있고 확정 기여형 플랜이 있는데요, 여기서 다룰 내용은 확정 기여형 플랜 즉, 근로자들에게 자신의 퇴직연금을 어느 쪽에 투자할 것인지 일정 정도의 선택지를 주는 방식을 다룰 예정입니다. 그러면, 근로자들의 퇴직연금을 합리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퇴직연금 넛지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퇴직연금(확정 기여형) 투자 방식에 넛지가 필요한 이유? 전 편에.. 2022. 4. 29. [행동경제학 6탄] 넛지를 통해 저축늘리기(퇴직연금 사례) 안녕하십니까? 넛지를 통해 이해하는 행동경제학 벌써 6탄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전 편에서는 넛지의 개념에서부터, 선택 설계의 기본 원칙까지 넛지를 도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 봤는데요. 드디어 실전 편입니다. 실제 사례에서 어떻게 넛지가 적용될 수 있는지 특히 공익적 측면에서 개인의 삶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퇴직연금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퇴직연금을 늘리기 위해 넛지가 필요한 이유? 우선 개인의 삶에 도움이 되는 넛지의 사례 1편 퇴직연금 활용을 장려하기 위한 넛지의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에서도 보편화되어 있는 퇴직연금의 경우, 개인이 노후에 기초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기본수단입니다. 퇴직연금의 경우.. 2022. 4. 28. [행동경제학 5탄] 선택 설계의 세계 - 선택 설계의 기본 원칙(2) 안녕하십니까? 지난 시간에는 행동경제학 4탄, 네 번째 이야기로 선택 설계의 설계 원칙 중 세 가지(디폴트, 오류 예상, 피드백)를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행동경제학 5탄에서는 네 번째 이야기에 이어서 선택 설계의 설계 원칙 중 나머지 세 가지 '매핑(대입)', '선택의 조직화', '적절한 인센티브 설정' 원칙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택 설계의 네 번째 원칙 '매핑(대입)을 활용해 자신의 선택의 결과를 예상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선택 설계의 네 번째 원칙으로는 매핑 즉, 자신의 선택과 이에 따른 효과를 연결시켜 이를 가시화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택 설계라는 시스템을 도입할 때 개인의 선택지에 따르는 효과를 개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입한다면, 그 선택 설계의 효용성은 더 높아질 .. 2022. 4. 25. 이전 1 2 3 4 5 다음